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💰 2025 희망저축계좌 I 완벽정리|생계·의료급여 수급자를 위한 자산형성 지원
📌 이 글은 2025년 보건복지부 자산형성 지원사업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지원 대상자 분들께 꼭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, 신청 기간을 놓치지 마세요!
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를 받고 계시면서 근로 중인 분들이라면, 정부가 매월 최대 30만 원의 자산 형성 지원금을 드립니다!
📌 누구를 위한 제도인가요?
희망저축계좌 I는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를 받으면서
근로 중인 가구를 위해 정부가 월 30만 원의 지원금을 제공하는 제도예요.
조건을 충족하면 3년간 최대 1,440만 원 + 이자를 모을 수 있어요!
항목 | 조건 |
대상 |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 가구 중 근로활동 중인 가구 |
본인 저축 | 월 10만 원 이상 (최대 50만 원까지 가능) |
정부 지원 | 월 30만 원 고정 (3년간 동일) |
기간 | 최대 3년 적립 가능 |
💸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?
구성 | 내용 |
본인 저축 | 10만 원 x 36개월 = 360만 원 |
정부지원금 | 30만 원 x 36개월 = 1,080만 원 |
총합계 | 1,440만 원 + 이자 + 추가지원금 |
🎁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은?
다음 대상자에겐 추가지원금도 복수 지급 가능해요:
- 내일키움장려금: 자활참여자 월 20만 원
- 내일키움수익금: 자활참여자 월 최대 15만 원
- 탈수급장려금: 생계·의료 수급자가 탈수급하면 지급
- 기타장려금: 지자체 또는 민간 협약에 따른 추가 지원금
✅ 가입 조건 요약
지급 여부 | 가입 기준 (소득 상한) | 유지 조건 (소득 하한~상한) |
1인 가구 | 956,805원 이하 | 574,083 ~ 5,025,353원 |
2인 가구 | 1,573,063원 이하 | 943,838 ~ 5,025,353원 |
3인 가구 | 2,010,141원 이하 | 1,206,085 ~ 5,025,353원 |
4인 가구 | 2,439,109원 이하 | 1,463,466 ~ 6,097,773원 |
💡 가입 조건은 ‘기준 중위소득 40% 이하’, 유지 조건은 ‘근로소득이 하한 이상 지속’이 핵심이야!
⛔ 해지 요건과 주의사항
해지 유형 | 사유 | 지급 여부 |
지급해지 | 3년 유지 + 탈수급 완료 (만기 or 중도) | 전액 지급 |
일부지급해지 | 만기 후 6개월 내 탈수급 실패 | 근로소득장려금의 5%만 지급 |
환수해지 | 6개월 연속 근로소득 하한 미달, 12개월 미납, 사망, 자금사용계획 미제출 등 | 본인저축금 + 이자만 지급 (정부지원 환수됨) |
✅ 부득이한 경우엔 꼭 "적립중지 신청" 해야 환수 방지 가능해!
📆 저축 인정 기간 예시
- 매월 22일까지 통장에 저축해야 해당 월 인정!
- 예:
4월 인정 기간: 3.25 ~ 4.22
5월 인정 기간: 4.23 ~ 5.22
📌 지원 개요
- 대상: 생계·의료급여 수급 가구 중 근로활동 중인 자
- 저축금액: 월 10만 원 이상 (최대 50만 원까지 가능)
- 정부지원금: 월 30만 원
- 3년 총 혜택: 본인 저축 360만 원 + 정부지원 1,080만 원 + 이자
- 조건: 3년 내 생계·의료 탈수급
📝 신청 방법
- 📍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
- 📄 사업 설명 듣고 유의사항 확인
- 📝 신청서 작성 및 하나은행 통장 개설
- 💰 매월 10만 원 이상 정기 저축
반응형